WHO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평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genus, species, strain에 따라 균을 동정하고 균주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라벨링을 붙일 것을 권고하게 됩니다. 1

원료의 컨텐츠- genus 속(屬), species 종(種), strain 균주(菌株)
최소 보장 프로바이오틱스 수
적절한 저장 조건
세부 정보를 위한 회사의 연락처

라벨링은 가장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유산균을 고를 때에도 라벨링이 명시한 항목을 따라가면 큰 실수가 없을 것이라 봅니다. 이 항목들을 위주로 유산균 고르는 법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저도 프로바이오틱스 애용자로서 저만의 유산균 고르는 법을 공유하는 차원으로 써봅니다.

1. 내 몸의 상태와 맞는 유익균이 있는지 체크

장점막에 정착할 것이기 때문에 수가 많은 것도 중요하지만, 내 몸의 상태와 맞는 유익균이 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균에 따라 효능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속, 종, 균주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분류가 세분화되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Lactobacillus rhamnosus GG 를 보시면 strain을 표기하는 GG가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L. rhamnosus GG 같은 경우 설사에 도움을 주지만 다른 것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2

물론 현재로서는 프로바이오틱스의 건강상 유익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내용은 한정적입니다. 로타바이러스로 인한 설사, 항생제 유발성 설사, 유당 불내증, 유아의 식이성 알러지 증상의 개선, 정장 작용 등만이 표시가 가능합니다.

발암 위험 감소, 면역 기능 조절, 알러지 예방, 혈압 강하, 위장 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억제, 장내 환경 개선, 과민성 대장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증상 개선, Clostridium dificile 설사 개선, 식이성 콜레스테롤 감소, 유아 및 아동의 호흡기 감염증 억제, 구강내 감염증 감소 등은 동물 실험이나 인체 임상실험 수준에서의 효과를 인정받으나 체계적인 임상이 필요시 되는 내용입니다.

이러한 내용들에 대해서 일일이 pubmed.com을 검색하시는 것은 귀찮은 일이실 테니 몇 가지 균주들을 적어보겠습니다. 3

치료 적응증 

 프로바이오틱스

 고콜레스테롤혈증

L. plantarium 299v

L. acidophilus L1

Bacillus coagulans ATCC #31284 

 아토피 예방

 L. rhamnosus GG

 아토피양 습진

 L. rhamnosus GG 

Bifidobacterium lactis Bb12

L. paracasei Shirota

음식 알러지 

 L. rhamnosus GG 

B. lactis Bb12

L. paracasei Shirota

NSAIDs 사용/미란성 위염 

L. rhamnosus GG 

 항생제 사용중/후

 L. rhamnosus GG 

Saccharomyces cerevisiae(Hansen CBS 5926) 

L. acidophilus LA5 

L. plantarium 299v

 면역기능 감소

L. rhamnosus GG 

B. lactis HN019(DR10) 

L. johnsonii La1 

L. rhamnosus HN001(DR20) 

L. acidophilus LA5 

 장누수 증후군

 L. rhamnosus GG 

S. cerevisiae(Hansen CBS 5926)

 위,장염

 L. rhamnosus GG

L. reuteri MM53

L. paracasei CRL431

L. acidophilus CRL730

L. johnsonii La1

B. lactis Bb12

L. plantarium 299v

L. paracasei Shirota

 Giardia 감염

L. johnsonii La1

L. plantarium 299v

L. rhamnosus GG 

 장내 dysbiosis

 L. rhamnosus GG 

L. johnsonii La1

L. plantarium 299v

L. paracasei Shirota

L. acidophilus LA5

 과민성 대장증후군

 L. plantarium 299v 

VSL#3

 여행자 설사

 L. rhamnosus GG 

B. lactis Bb12

L. acidophilus LA5

S. cerevisiae(Hansen CBS 5926)

L. plantarium 299v

 유당 불내증

L. acidophilus NCFM

L. johnsonii La1

L. acidophilus LA5 

 위궤양, 비미란성 위염

L. johnsonii La1

L. acidophilus LB

L. acidophilus strain NAS

L. acidophilus DDS-1

L. rhamnosus GG 

 크론병

L. rhamnosus GG  

S. cerevisiae(Hansen CBS 5926)

 궤양성대장염

E. coli strain Nissle 1917 

L. plantarium 299v 

VSL#3 

 대장암 예방

 L. rhamnosus GG 

L. acidophilus NCFM

L. paracasei Shirota

L. acidophilus DDS-1

L. acidophilus Delvo Pro LA1

L. delbrueckii ssp.bulgaricus strain LB-51

 요로감염

 L. rhamnosus GR-1

L. fermentum B-54

L. fermentum RC-14 

L. acidophilus NCFM

 외음부 질염

L. acidophilus LA5

L. acidophilus strain NAS

L. rhamnosus GG

L. rhamnosus GR-1

L. fermentum RC-14  

2. 균수가 충분한지 체크
균수가 충분해야 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위와 장을 거치면서 위산, 담즙산, 췌장액에 의해 상당수 파괴되기 때문에 여기서 살아남은 균들만 장까지 살아서 정착가능성을 높이게 됩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보장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수 뿐 아니라 스타터의 수가 고함량일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최소 300억 이상은 되야 한다고 봅니다.

3. 생균인지 체크
장에서 정착하여 보다 장기적인 효과를 노리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상태로 캡슐 안에 동결 건조되어야 합니다.

4. 저온유통 되었는지 체크
온도, 습도, 빛, 산소 접촉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이며 4도씨 정도의 냉장보관으로 유통이 가장 적절합니다.

5. 포장 상태 체크
PTP 개별포장에 질소 충진이 되어 있는 차광용기에 들어 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한 번 뚜껑을 열어 공기에 접촉할 때마다 유산균들은 죽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보장균수라는 것이 있는 것이고요. 라벨에 명시되어 있는 균수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초기 주입하는 유산균 수가 어마무시한 몇 백억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회사마다 달라지게 됩니다.

6. 원료 회사 체크
개인적으로 저는 어떤 회사의 원료로 접종했는지를 가장 눈여겨 봅니다. 균주에 따라서 효능만 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회사 고유의 특허가 걸려 있는 균주는 그에 따라 내산성, 내답즙성, 내열성, 내동성 등도 제각각입니다. 이런 잣대가 무작정 옳진 않겠지만 시장점유율이 높은 회사일수록, 많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은 회사일수록 좋은 원료를 썼지 않겠나 합니다.

국내의 경우 유통만을 담당하는 회사들이 더러 있습니다. 이들이 갖고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떠나 어떤 회사의 원료를 접종하여 생산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저는 크리스찬 한센과 듀폰 다니스코사의 원료라면 신뢰하는 편이고, 그 뒤에 비로소 제품에 따라 균주가 골고루 들어 있는지, 내 몸의 상태와 맞는 균주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편입니다. 조금 비싼 감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땐 훨씬 경제적입니다. 물론 보관 유통을 담당하는 회사의 노하우 역시 중요하겠고요.


1. http://www.who.int/foodsafety/fs_management/en/probiotic_guidelines.pdf

2. Majamaa H, Isolauri E, Saxelin M, Vesikari T. Lactic acid bacteria in the treatment of acute rotavirus gastroenteriti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995 Apr;20(3):333-8.

3. Joseph E. Pizzorno Jr. ND, Michael T. Murray ND. Textbook of Natural Medicine, Third Edition

+ Recent posts